대전에서 발생한 분전반 화재로 화재 발생 장면이 제대로 잡혔다.
전기 관련 화재에서 보면 특히 분전반이 완전히 소실되어 버리는 화재를 종종 볼 수 있다.
전기와 관련된 여러 지점 중 특히 전기 차단기가 집중적으로 모여 있는 분전반 화재가 잦은 이유를 전기안전공사 관계자 분께 질문한 적이 있다.
이분 의견은 (몇십년간 이업무를 보셨다.)
분전반에서 발생하는 스파크 불꽃과 화염이 전도체의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곧 전기적 스트레스(접촉불량,트래킹 등)가 존재하는 곳에서 스파크를 동반한 불꽃이 발생하는 경우 이 스파크 불꽃이 전도체가 되어 분전반에 동시 다발적으로 합선에 의한 스파크를 발생시키고 곧 분전반 전체가 화염에 휩싸이게 된다는 것이다.
2013.08.08. 추가
아래 내용은 LS산전 MCCB카달로그에 나오는 기술자료중 한 부분이다. 여기에 이온 발생에 대한 내용이 있어 추가 한다.
차단기 제조업체에서는 "고온의 이온화된 가스가 발생" 한다고 한다. 이것이 위에서 말한 스파크 불꽃과 화염의 전도체 역할과 관계가 있을것 같다.
사진출처 : http://blog.daum.net/doribrj
'화재조사 > 전기화재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부하 및 과전류 추정시 검토할 사항 (0) | 2013.08.10 |
---|---|
상가건물 배선용차단기 화재와 LS산전 MCCB,ELCB 설명 (0) | 2013.08.10 |
2011. 연구보고서_전선 도체조직 분석에 의한 화재원인 감정 연구(단락흔 개념이해 요약) (0) | 2013.07.24 |
과전류의 개념과 차단기 종류 (0) | 2013.06.26 |
전선,코드 종류 및 규격 (0) | 2013.05.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