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확실성의 정도에 대한 부산 국립과학 수사연구원 송재용 연구원의 의견이다.(2013 경북소방학교 교육)
- 사료(思料) : 50% 이하일때
- 추정(推定) : 50% 이상일때
- 판단(判斷) : 100% 확신일때
국어사전에는 아래와 같이 정의 한다.
사료3[
추정1[
판단[
의심1[
2. NFPA 921 에는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18.6 의견.
화재나 폭발에 대한 가설로부터 의견을 개진할 때에, 조사관은 이러한 의견에 대한 확실함의 수준에 대한 기준을 세워야 한다. 다음은 의견과 관련하여 중요성을 갖는 두 가지 확신 수준이다.
(1) Probable (상당히 근거 있음). 이 수준의 확신은 진실일 가능성이 더 높은 경우에 해당한다.
이수준에서는 가설이 진실일 가능성이 50% 이상이다.
(2) Possible(가능성은 있음). 이 수준의 확신에서 가설은 적당한 것으로 간주 할 수 있지만 상당히 근거 있음(Probable)이라고 단언 할 수는 없다. 두 개 이상의 가설이 비슷한 경우에는 확신의 수준은 "가능성 있음"이어야 한다.
영어사전의 정의
Probable : (
Possible : [
18.6.2 결국 조사에서 주집된 데이터의 확신 수준에 관한 판단이나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세워진 가설에 대한 판단은 조사관의 몫이다. 최종 의견은 해당 의견을 도출하는데 사용된 데이터의 품질에 달려 있다. 의견의 확실성이 "가능성은 있음" 또는 "의심됨(suspected)"일 경우에는 발화 원인은 미확인으로 처리되어야 한다.
확실성의 수준이 "상당히 근거 있음" 으로 판단되는 경우, 화재원인은 사고, 방화 또는 자연적 발화로 분류될 수 있다.
내가 알고있는 조사관들은 의미를 알고 사용하는지 아닌지 잘 모르겠지만 대체로 습관적으로 "추정"이라는 단어를 사용한다. 확실성의 수준이 단어의 사용에 따라 다르게 해석 할 수 있다고 생각은 하고 있었지만 어떤 단어가 가장 적절한 것인지 잘 모르고 있었다.
내가 습관적으로 사용하는 "추정"이라는 단어가 가능성 50% 이상(probable-상당히 근거 있음)의 의미를 가지고 있음을 꼭 알아야 겠다.
'화재조사 > 현장조사서 작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화와 불장난 (0) | 2013.08.31 |
---|---|
알아두면 편리한 특수문자 입력 키 (0) | 2013.08.21 |
육즙(?) 철큰콘크리트조.... 임장(?) 공기관의 일본식 잔재.. (0) | 2013.07.13 |
차량 엔진룸 구조 정보 (차량 제조사 링크) (0) | 2013.05.26 |
화재조사 작성 참고 자료(날씨,화상,나이,건축물,베란다,발코니,테라스,조사용어) (0) | 2013.05.26 |